- 미국
- 연구실
- STEM대학원
- 유학
- 대학원 불합격 #재도전 #입학 준비 #스펙
- 공대
- 비지팅데이
- 미국 대학원
- 미국 취업
- 대학원 면접
- 질문
- 면접
- 미국대학원
- 멘탈케어
- 불안극복
- 대학
- 멘탈관리
- 이민자생활
- 연구동료
- 대학원
- 낮은 성적
- 교수
- 미국유학
- 합격
- 인터뷰
- 미국 동아리
- 커리어성장
- 미국 #교육 #대학원 #대학 #인터뷰 #면접
- 미국공대
- 대학원준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Today
- Total
목록대학 (2)
미국에서의 성장 일지
대학원을 다닐 때 같은 일상이 반복되기 마련입니다. 박석 사과정을 통해 2-7년 내내 조교 생활하며, 논문을 읽고, 논문을 쓰고 실험을 하고 등등의 같이 일들이 반복되죠. 이 일이 계속 반복되다 보면 "아 내가 지금 일을 하고 있나?"라는 생각이 들게 됩니다. 그리고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다른 친구들을 보며 이상한 기분이 들고 자괴감에 들기가 쉽죠. 아무리 바쁘게 일을 해도, 연구란 것이 오랫동안 걸리는 일이기 때문에 "아 내가 정말 열심히 일을 하고 있나?"라는 의구심이 쉽게 들게 되기도 합니다. ➤ 하지만, 이런한 번아웃은 대학원 때 다들 겪는 일입니다. 대학원에서 하는 연구와 관련된 일은 평범한 직장생활과는 다르게 cerebral 하고 abstract 한 일입니다. 그래서 따로 공상하고 생각, 고뇌..
대학에 있을 때 교수와의 1대 1 면담은 생각보다 그리 많이 일어나지 않는다. 특히 학교 규모가 커질수록 교수 대신 TA (조교)와 면담을 할 확률이 더 높다. 만약 대학생이 교수와 1대 1 면담을 하게 된다면 그것은 아마 (1) 연구실에 들어가게 해 줍사 부탁하려는 것일 거고 아니면 (2) 대학원 인터뷰 때문일 거다. 이유가 어찌되었던간에, 교수와의 1대 1 면담을 할 때 다른 학생들보다 더 튀고 교수의 기억에 남도록 하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 성적이 상위 1% 안에 들면 자연스레 교수가 기억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하고 사전에 다음과 같이 준비를 해야 한다. 1. 그 교수의 연구실에서 발행된 논문을 읽으며 연구 주제 흐름을 파악한다. 5년안에 쓴 글들은 스캔하면서 어떤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