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원준비
- 미국 취업
- 미국대학원
- 미국공대
- STEM대학원
- 미국 #교육 #대학원 #대학 #인터뷰 #면접
- 대학
- 낮은 성적
- 미국
- 대학원 면접
- 미국 동아리
- 미국유학
- 대학원 불합격 #재도전 #입학 준비 #스펙
- 연구실
- 연구동료
- 인터뷰
- 비지팅데이
- 멘탈케어
- 합격
- 대학원
- 커리어성장
- 교수
- 공대
- 질문
- 미국 대학원
- 불안극복
- 멘탈관리
- 면접
- 이민자생활
- 유학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Today
- Total
미국에서의 성장 일지
미국 대학원/대학교 동아리에 꼭 들어야하는 이유 & 추천 & 팁 본문
미국 대학 혹은 대학원 에 들어가면 미국 학생들이 가장 먼저 하는 게 동아리를 드는 것입니다. 미국 문화에 익숙한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많이 하는 것이죠. 안타깝게도 한국인들 그리고 외국인 학생들은 타지에서 온 탓인지 아니면 공부에 매진하고 싶어서인지, 동아리에 바로 들어가는 것을 꺼려하거나 늦게 조인합니다. 거기에 비해 미국 학생들은 동아리에 바로 들어가 친구들을 사귀고, 네트워킹을 하고, 그리고 resource를 얻어 다른 외국인 혹은 한국인 학생들보다 더 앞서 나가게 됩니다.
왜 미국 대학 대학원에서 동아리를 바로 들어야 하나?
"그냥 연구랑 수업에 집중하면 안 될까요?"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동아리활동을 그저 네트워킹 하고 친구를 만들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해서는 안 되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1. 미국 사람들은 hiring을 할 때 숫자 (논문 개수, GPA)만 보지 않습니다. 미국 회사들 (연구직)이나 대학들 (교수직) 은 hiring을 할 때 Leadership 이랑 communication skill을 두루두루 봅니다. 이 두가지 스킬을 recruiter들에게 proove하는 방법은 동아리 활동을 통해서 입니다. 따라서 그 경험과 스킬을 이력서에 잘 포장해야겠죠. 그리고 취업준비를 할때 인터뷰 질문들이 거기서 거기입니다 - 회사가 달라도 질문이 굉장히 비슷합니다. 그 인터뷰 질문들 중 (1) 리더십을 언제 보였는가 (2) conflict을 어떻게 resolve 하는가가 많습니다. 그래서 동아리 경험을 이용해서 인터뷰 질문에 잘 대답을 해야 합니다. 이건 academia 그리고 industry 두 개에 다 해당됩니다.
2. Diversity statement에 유용합니다. 만약 acadmeia에 가게 된다면, diversity statement 혹은 diversity에 얼마나 노력을 기울였는지 써야 할지도 모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diversity에 관련된 동아리에 드는 걸 추천합니다.
3. Job recruiting season때 recruiter 들과 더 가까운 관계를 맺을 수 있습니다. 미국 대기업들은 8-10월에 hiring을 합니다. 미리 좋은 인재를 데려가려고 하는 시즌입니다. 그때 자기 회사와 관련된 전공을 위주로 랭킹이 높은 학교들 혹은 주변 주립대 학교들을 중심으로 직접 recruiting을 합니다. 이때 대부분 동아리를 통해 recruiting 이벤트를 여는데요, 만약 동아리 회장/주축 멤버이면 이 recruiter들과 일대일로 만나거나 이메일을 통해서 대화를 할 기회가 많습니다. 저는 이 기회를 이용해서 제 이력서를 디렉트로 보내고 인터뷰를 받아냈습니다. 이미 주축 멤버로서 이벤트를 coordinate 하고 있었기 때문에 관련된 리더십과 커뮤니케이션 스킬을 인증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4. 미니 장학금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많은 동아리들은 company 혹은 alumni 혹은 department 를 통해 재정 지원을 받습니다. 그리고 그 받은 지원을 동아리 멤버들에게 mini scholarship으로 제공하거나 conference fee를 대신 내줄 때도 있습니다. 10만 원이든 1000만 원이 든요. 그리고 가끔 학교 내의 있는 competition, scholarship, conference 내용도 바로바로 알려주는데요 - 만약 공부나 연구에 매진한다면 놓칠 수 있는 기회가 많습니다.
5. 족보가 있습니다. 전공관련 동아리를 들거나 공대관련 Frat/Sorority를 들면 족보, 그리고 Textbook을 공짜로 얻을 수 있습니다 ^^ (이건 대학 한정)
무슨 동아리에 들어야 하나요?
대학원 동아리는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는데요: (1) professional 그리고 (2) social 이 되겠습니다. 저는 두 가지 다 들으라고 합니다. 여기서 저는 한국인 학생회를 제외하고 싶습니다. 한인학생회는 학교 규모에 따라 cliquey 하거나 그냥 pure social 한 경우가 많아서 다루지는 않겠습니다.
Professional 동아리는 전공과 관련된 곳이 좋습니다. 그리고 professional 혹은 social 동아리를 들 때 diversity와 관련된 동아리를 듣는 것을 추천합니다. 예를 들어: diversity association, Asian group association, native students, latinax/black student group association, women student org 등이 있겠네요.
이러한 동아리는 엄청나게 큰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LinkedIn 네트워크를 쉽게 넓힐 수도 있고, 멘토링 프로그램도 잘짜여져 있어 좋은 인연을 맺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건 제 책을 확인하세요! https://kmong.com/gig/286159
동아리 활동 타임 라인 그리고 무슨 활동을 중점으로 할까?
1-2학년 때 작은 이벤트를 organize 하는데 도와줍니다. 그리고 1학년 말에 officer이 되고 싶다는 의사를 표현합니다
3-4 학년 때 officer이 됩니다. 저는 이때 professional event를 organize 하는 경험을 얻는 것을 추천합니다.
봉사 활동 위주로 동아리 활동을 하는 것보다는 leadership, multi-tasking, conflict resolution, 그리고 communication skills를 잘 보여주는 활동을 해야지 그 경험들이 나중에 취업준비를 할때 매우 유용하게 쓰입니다.
만약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밑에 있는 하트를 눌러 주세요 - 어떤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는지 파악하는데 굉장히 많음 도움이 됩니다. :) 궁금한 거는 댓글 혹은 구글 form을 통해 써주세요! https://forms.gle/ebN8 MXFhWkaaGUut6
더 자세한 거는 제 책 “한 권으로 미국 대학원 입학, 졸업, 취업 끝내기”을 통해 확인하길 바랍니다.
- 유튜브:www.youtube.com/channel/UCWIKE5SbT5aTTEvYrjBXpIQ
- 인스타: www.instagram.com/conqueringgradschool/
- PDF: https://kmong.com/gig/286159
'대학원 생활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원 석박사 번아웃 어찌하면 좋나요 ㅠㅠ (1) | 2022.11.25 |
---|---|
두려움: 대학원에서 도움이 되는 감정! 어떻게 이용해 볼까? (0) | 2022.11.24 |
미국대학원: 연구실이 마음에 안들어요. 나갈까요? (교수와의 불화, 망한 연구주제, 등) 미리 알면 좋은 팁 (3) | 2021.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