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의 성장 일지

대학원 인터뷰 질문과 답변 예시 [꿀팁 and 주의할것] 본문

대학원 준비 팁

대학원 인터뷰 질문과 답변 예시 [꿀팁 and 주의할것]

(나우) 2021. 11. 19. 10:50

 

12월 정도에 미국 대학원 원서를 다 넣으면 1월부터 3월 말까지는 인터뷰 시즌이 되겠습니다. 인터뷰 혹은 합격소식은 1월 중순-말에서부터 올 수도 있어요. 만약 대학원들이 일찍 연락을 한다면, 장학금을 받았을 확률이 굉장히 높습니다 하지만 학교에서의 연락이 늦으면 늦을수록 풀 펀딩을 받을 확률이 낮거나 waitlist가 될 확률이 높습니다.

 

거두절미하고, 혹시 모를 인터뷰를 위해서 저는 11월-12월에 천천히 준비하라고 후배들에게 일러둡니다. 원서를 준비하면서 같이 하면 시간이 절약되거든요. 일단 비지팅데이 관련 팁과 인터뷰 질문은 예전 포스팅에 다루었고요 (https://stemgrad247.tistory.com/9). 이번 글은 인터뷰 (virtual or visiting day)에 더 집중했습니다.

 

인터뷰 질문은 interviewer의 구성에 따라 질문 내용/목적이 바뀌어요. 예를 들어 인터뷰어가 그룹으로 돼있고 여러 명이 있을 때, 전형적인 질문을 물어볼 때가 많습니다. 왜냐하면 여러 학생들에게 같은 질문을 해야지 학생들의 성격/일처리 능력/스킬/attitude 을 쉽게 비교할 수 있거든요. 따라서 인터뷰 답변을 할 때 꼭 personallized 한 답변을 해서 교수들의 기억에 남도록 해야 합니다. 

 

1:1 인터뷰일 경우 케바케가 되죠 교수의 성향에 따라. 그래도 인터뷰 질문들은 중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1. 그룹 인터뷰일 경우

이때는 General 한 question을 물을 경우가 많습니다: 

GENERAL QUESTIONS  

  • Tell me about yourself: 예전 포스팅에 썼던 elevator pitch 관련 내용을 참고하세요 이 질문을 답할때는 (1) 내가 직접 이룬 성과/경험 (2) interest (3) personal value 등을 얘기하면 좋습니다. 그리고 각 포인트가 어떻게 대학원 생활에 도움이 될지 연관시켜주면 좋고요.  예시로는: I'm a student who not only focuses on academics but also [취미, interest]. Having those two aspects in my life has helped me [대학에서 이룬 성과] because I believe [personal value. 예를 들어, 인생은 마라톤이기 때문에 mental health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 I has made me [personality trail. 예를 들어, passionate, hard working, etc] 
  • Why our school/program?: 이 질문은 꼭 나올겁니다. 이때 저는 다른 학교와 비교하면서 답을 했습니다. 예를 들어: Well, [가고 싶은 학교] has tremondous support system for [관심 있는 분야] putting $XXXX worth of funding in [연구분야/학생 재정적 지원/연구실 등], which is an impressive amount compared to what [다른 학교] has put in which is around ~$XXX. It just shows that [가고 싶은 학교] has great resources to allow students to focus on research. 그리고 그 학과에 있는 웹사이트에 들어가서 거기서 offer 하는 특별한 프로그램, 재정적 지원, 돈과 시간을 어디에 투자하는지, 다른 학교/학과보다는 어떤 점이 나은지 미리 찾아봐야 합니다. 절대로 학교/학과 랭킹, 유명한 교수 이름에 중점을 두지 마세요. 
  • Why should we accept you?/How will you contribute to our program? 이 질문을 하는 이유는 당신이 학교에 얼마나 좋은 resource가 되는지 묻는 질문입니다. academic success, 논문 갯수같은거 외에도 학교의 value에 어떻게 contribute 할 수 있는지 묻는 겁니다. 따라서 personal value/goal/interest를 학교의 value과 연관시켜서 당신이 대학원에 있을 때 무슨 action을 취할 것인지 답하세요. 예시로는: I know I will be a valuable resource to this school not only due to my academic contributions and technical experiences I've gained from [연구실/논문/연구 주제 경험] but also due to my interest in [학교의 value와 연관된 것. 예로 diversity, supportive environment, etc]
  • Why are you pursuing this degree (Ph.D. or Masters)? 이거는 자신의 value에 포커스를 맞추어 대답하면 됩니다. 
  • Why do you feel prepared to start graduate school? 이 질문에 대답할때는 자신이 (1) 연구 관련해서 얼마나 성장했는지/Passionate 한 지  (2) Mentally얼마나 준비되어있는지 대답하면 됩니다.  
  • Where else are you applying?* 어느 학교에 지원했는지는 솔직하게 대답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다른 학교에서 이미 불합격통보를 받았어도 그냥 현재 "waiting for response"라고 말하면 됩니다. 굳이 다 알고 있는 결과를 얘기할 필요가 없습니다. 
  • What are your future goals in [school name]? 이건 academia로 갈지 industry로 갈지 묻는 질문입니다. 이 질문을 답할 때 굳이 직접적이게 나는 industry에 가길 원한다고 답변하지는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왜냐하면 industry에 관심 있는 학생들은 PhD를 하다가 중간에 Master를 받고 그냥 졸업할 가능성이 크거나 논문 quality/개수에 그다지 연연하지 않을 거라는 생각 때문이죠. 그리고 이 프로그램이 자신의 목표/관심 있는 연구에 어떻게 도움이 될지 관련하여 대답하면 좋습니다.
  • Tell me about [이력서/SOP에 쓴 프로젝트, 스킬, 논문]? 가끔 인트로 없이 갑자기 훅 들어오는 질문인데요. 자기가 이력서에 무엇을 썼는지 꼭 기억하시고, 디테일한 답을 줄 수 있도록 미리 연습하세요
  • Why did you receive B (or lower) grade for this class? 이 질문은 교수가 그 수업과 관련된 분야에 종사한 분일 수록 물어볼 확률이 큽니다. 특히, Technical 한 클래스 혹은 3-4학년때 들었던 수업에 대해 물을 가능성이 큽니다.

RESEARCH RELATED QUESTIONS

  • 이력서에 있는 스킬/연구 프로젝트를 가르키며
    • what was your role in this project?
    • Asking the results/analysis: 이거는 당신의 rationale/reasoning을 보려고 묻는 질문입니다.
    • What did you learn/gain from this past research project? 
    • Have you done any troubleshooting? If so how did it go?
  • Can you explain your research in layman's terms? 미국인들이 근래에 많이 쓰는 단어입니다 
  • What is your research interest? How did you become interested in this line of research? Why are you interested in this field? Why/how did you become interested in [교수 이름]? 이 질문에 대답할 때에는 자신의 예전 연구 주제/possible application을 말하고 얼마나/왜 passionate 한 지, 그리고 목표 달성을 위해 학부생 때 얼마나 연구에 active 했는지 대답하세요. 여기서 어떤 교수들은 technicality 혹은 acronym에 관한 퀴즈를 낼 수 있으니, SOP/이력서에 쓴 연구 분야는 빠삭하게 알고 있어야 합니다. 
  • What are you hoping to research? 이 질문을 묻는 이유는 (1) 당신이 관심 있는 연구주제에 얼마나 깊은 knoweldge를 갖고 있는지 (2) 다른 relevant 한 연구 주제에 관심이 있는지 묻는 질문입니다 - this is to see your flexibility, so answer honestly! 

PERSONAL QUESTIONS

  • How do you deal with failure/disappointment? Can you name a time when you failed and how did you respond to the failure? 이 질문은 취업 준비할 때도 많이 묻는데요, 미리 연습해 놓으면 좋은 질문입니다. 이 질문에 대답할 때는 STAR(situation, task, action, and result) 테크닉을 이용하세요. 그리고 failure 이란건 없고 그저 경험 중 하나 일 뿐이고 자신이 그 경험을 통해서 어떻게 성장하거나/situation을 improve했는지 대답하면 됩니다. 
  • What is your most significant accomplishment? 이 질문에 대답할 때는 당신의 능력을 보는것 뿐만아니라 value가 무엇인지 보는 질문입니다. 이 질문에 대답할때는 result에 집중하기 보다는 process에 중점을 두는게 좋고, 그것이 어떻게 자신에게 도움이 됐는지 그리고 대학원에 어떻게 도움이 될지 대답하면 좋습니다. 
  • What have you been reading?/What's the last book you read? What's your hobby? How do you handle stress of academia? 이 질문에 대답할때는 자신의 hobby가 mental health, creatvitiy, team work에 도움이 되는지 보여주면 좋습니다. 
  • What are your strengths and weaknesses?  What else should we know about you / What sets you apart from other candidates 이 질문을 통해 교수들이 보고자 하는 거는 학생의 self-awareness 그리고 attitude입니다. 일단 weakness를 얘기할 때는 자신의 약점이 무엇이며, 어떻게 자신에게 영향이 갔는지, 하지만 자신이 그것을 극복하기 위하여 현재 어떤 방안을 마련했는지 말하면 됩니다.  Strength는 솔직하게 말하면 되고요. 

 

2. 인터뷰가 1:1 일 경우 

1:1 일 경우 앞서 말했듯이 케바케일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도 섹션 1에서 언급했던 그룹 인터뷰 질문들은 미리 숙지하고 연습해 놓는 게 좋아요. 

RESEARCH-RELATED QUESTIONS

만약 virtual이 아닐 경우 1:1일 때 교수가 자신의 연구실을 직접 보여줄 수 있습니다. 미니 tour을 하면서 자신의 학생들이 쓰는 프로그램이나 Tool/Equipment를 보여주면서 당신이 그것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보고 technical 한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관심 있는 교수 연구실이 주로 쓰는 프로그램, skill-set, equipmet 가 무엇인지 미리 공부해 오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 포스팅에는 (1) 면접 때 교수들 혹은 학생들에게 어떤 질문을 하면 좋을지 그리고 (2) 교수랑 1:1 면접을 할 때 어떻게 좋은 연구 질문을 할 수 있는지 그 팁을 다루어 보겠습니다

 

만약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밑에 있는 하트를 눌러 주세요 - 어떤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는지 파악하는데 굉장히 많음 도움이 됩니다. :) 궁금한 거는 댓글 혹은 구글 form을 통해 써주세요! https://forms.gle/ebN8 MXFhWkaaGUut6

 

 

 

더 자세한 거는 제 책  “한 권으로 미국 대학원 입학, 졸업, 취업 끝내기”을 통해 확인하길 바랍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