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합격
- 공대
- 멘탈관리
- 불안극복
- 미국공대
- 교수
- 대학
- 미국 대학원
- 멘탈케어
- 연구동료
- 대학원 불합격 #재도전 #입학 준비 #스펙
- 유학
- 비지팅데이
- 미국 #교육 #대학원 #대학 #인터뷰 #면접
- 대학원
- 미국 취업
- 대학원 면접
- 미국
- 미국 동아리
- 미국유학
- 커리어성장
- 낮은 성적
- 대학원준비
- STEM대학원
- 연구실
- 이민자생활
- 면접
- 미국대학원
- 질문
- 인터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0)
미국에서의 성장 일지

미국 대학 혹은 대학원 에 들어가면 미국 학생들이 가장 먼저 하는 게 동아리를 드는 것입니다. 미국 문화에 익숙한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많이 하는 것이죠. 안타깝게도 한국인들 그리고 외국인 학생들은 타지에서 온 탓인지 아니면 공부에 매진하고 싶어서인지, 동아리에 바로 들어가는 것을 꺼려하거나 늦게 조인합니다. 거기에 비해 미국 학생들은 동아리에 바로 들어가 친구들을 사귀고, 네트워킹을 하고, 그리고 resource를 얻어 다른 외국인 혹은 한국인 학생들보다 더 앞서 나가게 됩니다. 왜 미국 대학 대학원에서 동아리를 바로 들어야 하나? "그냥 연구랑 수업에 집중하면 안 될까요?"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동아리활동을 그저 네트워킹 하고 친구를 만들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해서는 안 되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

내가 대학원을 다닐 때 나는 대학원에 합격할 수 있는 이는 오직 중상위 랭킹의 대학교를 다니면서 좋은 성적을 가진 자들인 줄만 알았다. 하지만 막상 대학원 지원자 합격 리스트를 보고 다른 학교 사람들과 대화를 해본 결과... 꼭 성적이 좋지 않더라도, 꼭 네임벨류가 있는 학교를 나오지 않았더라도 대학원에 합격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돈이 많거나 교수와 연줄이 있으면 쉽게 입학할 수 있는 게 대학원이었다 (졸업하는 건 다른 문제지만). 만약 돈이 없고 연줄도 없고 성적도 낮으면, 대학원을 포기해야 하는 걸까? 절대 그렇지 않다. 대학원 입학은 그냥 점수만 보고 명확하게 합격/불합격을 나누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시스템만 잘 파악하면 낮은 성적으로도 대학원 입학이 가능하다. 따라서 만약 대학원에 진학하고 ..

4월 1일이 되면 불합격/합격/waitlist 통보를 받았을 텐데요, 오늘은 불합격 통보를 받고 대학원 진학에 실패한 분들을 위한 글을 써봅니다. 만약 몇 학교에 합격을 했지만 합격 조건 (scholarship, TA/RAship 등)이 마음에 안 들어 내년 입시를 재도전하는 분들도 이 글을 보면 도움이 될 겁니다. 일단 "끝나지 않았다"라고 미리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재도전은 언제든지 충분히 가능하고, 재도전을 함으로써 더 좋고 잘 맞는 학교와 매칭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럼 내년 합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할까요? 멘탈을 다시 잡고 해야 할 것들 다시 한번 생각해봅니다. 이 학위를 받고 안 받고 가 정말 내 인생을 좌지우지할 것인가? 내가 이 학위를 원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만약 이 질문들을..

12월 정도에 원서를 넣고 한두 달 기다리면 다음과 같은 소식을 접하게 될 겁니다. Virtual interview offer. 이걸 잘 하면 다음 스텝 (2)으로 넘어갑니다. Visiting day offer (1)을 스킵하고 바로 (2)로 올 수 있습니다. Unofficial acceptance letter. 가끔 (1)-(2)을 스킵하고, 비공식적 합격통보가 올 수 있습니다. 그리고 비지팅데이 초대장이 옵니다. 만약 3월 중순 말까지 아무 소식이 없으면 대기자 명단에 들거나 혹은 불합격 처리가 되었다고 보면 됩니다. 벌써 3월이니 virtual interview에 관한 건 다음 포스팅에 설명하고, 오늘은 비지팅 데이에 관한 포스팅을 써보겠습니다. 비지팅 데이 때 어떠한 행동을 해야 할지, 질문을 해..

미국대학원 "준비"에 관련된 포스팅은 아니지만, 대학원생들에게 현재 도움이 될 것 같기에 미국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있을법한 불화/문제를 어떤 식으로 해결해야 할지 적어보았습니다. 지금 대학원을 준비하는 사람들, 입학할 예정인 사람들, 마지막으로 신입생들이 미리 알면 도움이 될만한 내용도 있으니까, 꼭 한번 읽어 보시길 바랍니다. 제가 미국대학원을 다니면서, 단 한 번도 교수 혹은 연구실 동료들과 문제/불화가 없었던 사람을 본 적이 없었어요. 만약 그런 사람들이 있었다면 초반에만 그랬지 나중에 졸업하기 전에 문제가 생기기도 하고 그랬습니다. 때문에, "아 나는 인간미가 있고 성격이 좋아서 문제없을 거임"라고 생각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ㅠㅠ). 대학원이라는 곳 특정상 나와 안 맞는 사람을 만날 확률이 굉..

이번 포스팅은 제가 추천하는 "연구실"을 다루었습니다. 이 글은 대학원 합격을 하고 최종학교를 고르는 사람들 혹은 현재 대학원 지원 준비를 하고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주의하실 거는 "연구실"을 추천하는 거지, 어떠한 "학교"를 가야 하는지 추천하는 글은 아닙니다. 그와 관련된 내용은 제 책을 확인 하세요: https://kmong.com/gig/286159 좋은 학교가 아닌, 좋은 연구실 일단 연구실을 고를 때 자신이 좋아하는 주제를 다루는 연구실을 위주로 봐야 합니다. 하지만, 옵션이 너무 많고, 지원서 넣을 돈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한 학교 넣을 때 $100-200 써야 되는데 무턱대고 다 넣을 수는 없잖아요? ) 밑에 있는 리스트를 토대로 전략적으로 연구실을 추려야 합니다. 만..

교수 컨택할까? 컨택을 왜 해야 할까? 네 번째 포스트는 미국 대학원 준비 중 교수를 미리 컨택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하는 분들을 위한 글입니다. 저는 무조건 컨택을 하라고 조언을 합니다. 제가 제 책 “미국 대학원 입학, 졸업, 취업 끝내기”에 썼듯이 (https://kmong.com/gig/286159), 교수가 특정한 학생을 눈여겨보면 대학원 합격률이 높아지긴 해요. 그 이유는 제 책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일단 이메일을 보낼 때 교수에게 답장을 받을 확률은 정말 낮아요. 교수들은 하루에 정말 많은 이메일을 받거든요 (제 어드바이저가 자기 이메일 inbox를 한번 보여준 적 있는데, 제가 봐도 일일이 답장을 못하겠더라고요 양이 너무 많아서). 아무튼 답장을 받는다는 기대감은 줄이시고, 그저 (1) 교..

세 번째 포스트는 미국에서 석사를 할지 박사를 할지 고민하는 분들을 위한 글이다. 미국 대학원에 관련하여 석사/박사 고민을 하고 있는 분들은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해보길 바란다: 스스로에게 질문을 해보자 내가 대학/대학원 졸업 후 원하는 직업은 무엇인가? 미국에서 졸업하고 직장을 갖는 게 목표이고, 어떠한 직업을 눈여겨보고 있다면 그 회사의 job posting을 구글 하여 educational requirement를 보자. 만약 박사가 필요한 직업이라면 "Ph.D. preferred"이라고 써져있을 것이다. 가끔"BS/MS" 혹은 "MS/PhD"라고 쓰여 있을 텐데, 그럴 경우 더 높은 학위가 취업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실무 경험이 전혀 없다는 전재하에). 만약 학사 학위만 갖은 사람이 ..

첫 번째 포스팅에서 말했듯이, 연구경험은 합격을 높이는 데에 정말 중요한 요소이다. 내가 대학교 다닐 때 후회하는 것들 중 하나가, 그냥 아무 생각 없이 자리가 나는 연구실을 찾아다니며 일한 거다. 여러 연구실에서 일하는 거는 자신이 어떤 연구 주제/ 연구실 환경을 좋아하는지 알 수 있게 해 주는 기회이기도 하지만, 무턱대고 아무 곳에서나 일하는 거는 결국에는 시간낭비일 뿐이다 어떠한 연구실에서 일할까? 처음에는 대학생들을 받아줄 연구실을 찾는 게 힘들 수 있다. 연줄이 없어 관심있는 연구실에 들어가지 못할 경우에는 그냥 자리가 나는 연구실에 들어가서 잠깐 일해도 되지만, 똑똑하게 일해야 한다. 가령: 새로운 programming language를 배울 수 있는가? 이력서에 넣을 만한 구체적인 프로젝트가..

이번 첫 번째 포스트에는 미국 대학원 입학 필수 요건 그리고 그 입학 기회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나열해 보았다. 기본적인 지식이지만 한국에서 미국 대학원에 지원하는 학생들은 모를 수 있는 내용이다. 미국 대학원 필수 합격 조건 3가지 크게 중요한 순으로 3가지가 있다: 연구활동, 학점, 과외활동. ➤ 연구활동 (입학 기회 늘려주는 연구실 추천은 두 번째 포스팅에!) : (1) 논문 저자 중 한 명이 되어야 함 (2) or 작은 학회에서 논문 발표 (3) or 이력서에 정말 구체적으로 자신이 무엇을 contribute 했는지 써야 함 (엄청 좋은 교수 추천서를 받는 전제하에) ➤학점: 적어도 3.6/4.0 GPA ➤동아리 활동 (1) Diversity 관련 동아리 활동에서 활발히 활동한다. 이거..